월-E.

영화. 2008. 8. 22. 19:16


표정도 짓지 못하고 말도 겨우 몇마디 하지 못하는 차가운 금속기계에 어떻게 그런 다양한 감정을 입힐 수 있는지 감탄이 절로 나왔다. 정말 사람이 연기하는 것 마냥 월-E의 생각과 감정들이 전해졌다.

참 따뜻한 영화다. 이브가 등장하기 전까진 슬픈 영화였고. 바퀴벌레 한마리를 벗삼아 홀로 지구에 남겨져 무료하게 쓰레기를 치우는 로봇, 자신 만의 공간에 소중하고 의미있는 것을 모아 차곡차곡 재어놓는 로봇, 200년 동안 한 영상을 수없이 보며 학습하던 로봇. 스크린에 등장하는 월-E의 행동 하나하나에 난 그냥 눈물이 났다. 이 로봇이 도대체 감정이라는 것을, 그리움이라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갑자기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듯 했다.

하지만 이브가 그를 구원해 낸다. 마치 초등학생이 좋아하는 아이에게 표현하지 못하고 그저 쑥스러워며 쉽게 다가서지도 못하지만 기회가 되자 자신의 보물인 수집품들을 자랑한다. 그리고 곁에 머물고 지극정성 돌봐주며, 차가운 얼음같이 도도한 이브가 자신에게 한걸음 다가오게 한다. 그리고는 은하수를 유영하고, 엑시온에서 친구들도 만들고, 인간들을 계몽하기까지 한다! 아앗, 아직까지 월-E의 커다란 눈망울이 아른거린다..ㅠ_ㅠ




('손'에는 참 큰 의미가 있나 보다. 누군가와 깍지를 낀다는 것은 그 사람과 사소한 일상과 감정과 생각을 모두 허락하고 교류한다는 것 아닐까. 사랑하는 사람과 깍지 끼고 보면 참 행복할 영화다. )
AND


내가 인터넷 상에 올린 글을 읽고, 평소에 알고 지내던 몇몇 사람들이 나를 재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게 뭐 별스런 일이라고. 다른 사람이 내 글을 읽고 그런 소리를 들으면 얼마나 우스울까 생각될 정도로.

어릴 때부터 좋아했다. 일기를 쓰는 것을. 그렇게 손으로 일기를 쓰다가 대학교 들어와 미니홈피나 블로그를 접하게 되면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갈아타게 된 거고.

하나하나 놓치기가 싫은게 가장 큰 이유다. 좋아하는 책이나 영화를 보았는데 뭔가를 남기지 않아 시간이 흐르면 잊어버리거나 흐려질 그 감정들을, 하루의 일상에서 하게 되는 소소한 생각들을. 그렇게 떠오르는 것들을 남기지 않고 그저 마음에 담아두고만 있으면, 그 느낌과 생각들이 글로 표현되기 전까지 내 머리 속을 헤집어 놓으며 빙빙 도는데 정말정말 답답하다. 어떨 때는 간단하게 메모를 남겨놓아야 할 정도로.

한번씩 부끄러운 마음이 들기도 한다. 그래도 내 일상의 재미이고, 계속 남을 내 흔적이고, 내 일기일 뿐인데 뭐.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가는 거다!

AND

좀비 영화.

영화. 2008. 8. 4. 00:50

레지던트 이블.



새벽의 저주.



새벽의 황당한 저주.



랜드 오브 데드.



28일 후.



28주 후.



플래닛 테러.


이제 눈이 풀린 채 두 팔을 올리고 느릿느릿 걷던 좀비는 없다. 생각을 하기 시작하더니 지능적인 조직으로 변모하기도 하고, 힘도 굉장히 센 녀석들이 달리기도 잘해서 조만간 100미터를 10초에 돌파할 것 같기도 하다. 좀비도 점점 진화해가나 보다.

AND

후회하지 않아.

영화. 2008. 8. 1. 17:02






그리고 이영훈.

AND




처음에는 '키스'를 참 좋아했는데 요즘은 이 그림이 더 좋다. 가만히 바라보고 있으면
이 금색 그림 안에서 뭔가가 흘러 넘치고 넘쳐 내 안으로 파고드는 듯하다.


나도 저런 충만함을 느끼고 싶어.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