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들은 종지부를 찍고 싶어 빨리 잊고 싶을지 모르지만 피해자들은 오랫동안 잊지 않는다. 전자에게는 사소하고 잊을 수 있는 사건이 후자에게는 평생 가는 분노의 원천일 수 있다...(중략)...
   게다가 가해자들은 자신의 행위가 당시에 이해할 만한 것이다고 생각한 반면 많은 피해자들은 가해자의 의도를 사건이 일어난 지 오랜 뒤에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왜 그랬는가?"
   "그녀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가해자의 동기를 이해할 없다는 점이야말로 피해자 의식과 피해자 이야기의 중심적인 특징이다.
   "그는 끔찍한 짓을 한 것만이 아니야. 그것이 끔찍한 짓이라는 것을 이해조차 못한다!"
   "그녀는 왜 자신이 내게 가혹하하게 대했다고 인정하지 못할까?"
   그가 이해할 수 없고 그녀가 인정하지 못하는 한 가지 이유는 가해자가 자신의 소행을 열심히 정당화하고 있다는 것이지만, 또 다른 이유는 피해자의 감정을 정말로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많은 피해자들이 처음에는 화를 억누르고 상처를 살피며 어떻게 할지 곰곰이 생각한다. 그들은 자신의 고통이나 불만을 여러 달 동안, 더러는 여러 해나 수십년 동안 되새긴다. 한 남자의 예를 들어보자. 결혼해서 18년 동안 함께 살던 아내가 느닷없이 아침 식사 시간에 이혼하자고 요구했다.
   가해자들은 벌써 종결짓고 잊은 사건들을 피해자들이 자신의 고통과 분노를 표출할 때 가해자들은 당혹스럽다. 대다수 가해자들이 피해자의 분노가 과잉반응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중략)...
   같은 사건을 두고 양측이 다른 이야기를 하는 바탕에는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패인 골과 그것을 만들어내는 자기정당화가 있다. 개인이든 국가든, 가해자는 자기행위를 정당화하는 역사를 쓴다. 그 행위는 상대편의 자극을 받아 일어났고 사리에 맞고 의미가 깊었다. 비록 자기 쪽이 잘못을 했거나 지나쳤을지라도 지나고 보니 차라리 잘 된 일이었고, 어쨌든 지금은 다 지난 일이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똑같은 사건을 두고 전말을 달리 설명하는 역사를 쓴다. 그들은 가해자의 행위를 독단적이고 무의미한 것으로, 또는 악의적이고 잔인한 의도에서 출발한 것으로 그린다. 반면 자신의 앙갚음은 전적으로 적합하고 정당한 것으로, 지나고 보니 오히려 잘 된 일은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그린다. 사실 모든 것이 잘못되었으며, 지금도 그 일만 생각하면 화가 난다.
- 거짓말의 진화; 자기정당화의 심리학 中 7장 가해자와 피해자의 심리적 메커니즘


가해자였던 내가 되어,
피해자였던 내가 되어,
뒤늦게 반성.

AND

괜찮다, 다 괜찮다.

책. 2009. 5. 23. 05:53

과거에 존재하는 그 아이가 있잖아요. 그 아이가 처해 있는 구체적인 상황을 우리 모두 각자 너무 잘 알고 있어요. 바람이나 기온, 불빛까지도 다 기억하고 있거든요. 그 아이에게 지금 어른이 된 내가 찾아가는 거에요. 그래서 그 아이를 안아주고 위로해주고 달래주는 거죠. "괜찮다, 너는 그래도 잘 클 거야. 내가 왔잖아"라고 하면서, 지금 내가 그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모든 위로의 말과 격려의 말을 해주는 거에요. 그런데 그게 상처가 깊을수록 스무 번 해도 잘 안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니깐 시간 날 때마다 하는 거에요. 그 아이가 내 머릿 속에서 사라질 때까지.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사라져요. 그래서 그 다음에 걔가 사라지면 그 다음의 기억, 힘없고 무력하고 당할 수밖에 없었던 그 어린아이, 외롭고 인정받지 못했던 그 아이에게 또 가는 거에요. 오늘의 내가 가서 또 안아주고 얘기해주는 거에요. 그런 아이를 보면 할 수 있는 모든 위로를 해주고, 그 아이를 꼭 껴얀아주고, 걔랑 같이 있어주는 거에요. 걔가 사라질 때까지.

그리고 많이 울어야 해요. 내 기억 속의 아이를 위해서 많이 울어줘야 해요. 내가 보니깐 상처를 씻어내는 데는 눈물 밖에 없더라고요. 누군가 자기를 위해서 울어줘야 되는데, 그게 자기 자신이어도 되잖아요. 진정으로 그 상황에 가서 울어줘야지, 막연하게 내가 우울해, 슬퍼, 그럴 게 아니라 정확한 상황에 가서 하나하나 해야 해요. 기억나는 모든 곳에 가서. 무력했던 시절까지.

- 공지영, "괜찮다, 다 괜찮다"



난 몇 명의 아이들을 찾아가야 할까.
그 아이들을 얼마나 달래주고 울어줘야 할까.


AND

천사와 악마.

영화. 2009. 5. 19. 02:50


이완 맥그리거가 나오는 줄 모르고 갔다고 완전 감동 ㅠ_ㅠ  수단을 입은 자태가 어찌나 섹시하고 고운지 눈을 뗄 수가 없었다! 거기다 가슴에 낙인이 찍히고 고통에 신음하는 그 장면이란.

영화 자체는.. 로마의 거리와 바티칸, 웅장한 성당, 교황청의 의식 등 볼거리가 많고 음악도 인상깊고 공중에서의 폭탄폭발 장면은 압권이지만 그래도 뭔가 허전한, 약간은 지루한 영화였다. 원작이 얼마나 긴 소설인지 모르겠다만 2시간 조금 넘는 시간에 구겨 넣으려니 중간중간 이음새가 많이 튄다고 할까.. 난 원작도 영화도 안봐서 잘모르겠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반응은 다빈치코드보다 낫다, 지루하지 않고 스릴감있다는 평을 내리는 것 같았다.





오른쪽 샤르트랑 역의 배우는 너무 예뻐서 감탄을 금할 수 없었다. 완벽한 금발에, 곱상한 외모, 하지만 왠지 귀여운 까칠함이 묻어나는, 만화책에서 금방 뛰쳐나온 이미지였다.

그리고 중간 아저씨는 어디서 많이 봤다 했더니 맘마미아, 캐리비안의 해적, 엑소시스트:더비기닝, 굿윌헌팅... 눈에 익을 수 밖에 없군!

AND

얼룩덜룩.

혼잣말. 2009. 5. 14. 23:36

내 몸도,
내 마음도,

얼룰덜룩 얼룩덜룩 해.



안녕.

AND


어떤 대상에 지나치게 집중해 대상에 대한 정의를 잃어버리게 되는 현상.
전체성을 잃고 개별의 것만 인식하게 되는 일.
문자를 장시간 보면 문자로서가 아닌 의미를 갖지 않는 선의 집합체로 보이는 것 따위를 말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게슈탈트 붕괴 현상은 자주 경험하지도 않으며, 길게 유지 되지도 않는다.
ex)친숙한 단어가 갑자기 낮설어 보이고 이게 맞는 맞춤법인가? 내가 제대로 쓴게 맞나? 등의 의심이 생긴다.


이거였구나!
AND